ultrasound study

초음파를 공부하는 블로그입니다. 제가 생각했을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정리한 노트형식입니다. 우리 모두 열심히 초음파 공부해요^^

  • 2024. 3. 31.

    by. ultrasound-7

    목차

      반응형

      담관 (Bile duct)

      1. Normal anatomy

      간에서 생성된 담즙은 좌우간관(left and right hepatic duct)을 거쳐 간문부에서 합쳐져 총 간관(common hepatic duct)을 이룬다. 총 간관 (common hepatic duct)은 담낭관(cystic duct)과 만나 총담관 (common bile duct)을 이루며 십이지장의 유두팽대부(ampulla of vater)로 들어간다. 

       

      - 담관은 담즙이 막힘없이 흐르고, 담낭은 수축기능이 원활할 때 정상으로 간주한다.

      - 담관이 막혀 흐름에 방해를 받거나, 간장에 답즙 생산 장애가 있을 때는 담낭이 영향을 받게 된다.

      - 담낭관 합류지점은 모든 수검자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 간외담관은 간장과 췌실질에 속박되지 않는 담관, 췌실질내 담관, 십이지장 유두 부네 담관등 세 분절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Bile ductBile ductBile ductBile duct
      Bile duct

       

      2. Normal duct measurement & US features

      1) 측정방법

      총담관(CBD) 확장 시 간동맥 (hepatic artery) 이 보이는 단면에서  wall 은 제외하고 측정한다.  총담관을 측정할 때 간동맥은 랜드마크가 된다.

       

      2) 정상 직경 및 초음파 특징소견

      • 총담관(common bile duct)의 직경은 7mm를 초과하지 않는다 (예외: 고령자, cholecystectomy 인경우 7~11mm 정상으로 간주한다.)
      • 총 간관(common hepatic duct)은 4mm보다 작다.
      • 60세 이후부터는 10년에 1mm씩 확장된다.
      • 정상 담낭관(cystic duct)의 직경은 2mm보다 작으며 50% 에서 관찰된다. 
      • 간내담관(intrahepatic bile duct)의 좌우직경은 2mm 이하이다. 직경이 2mm 이상이거나 portal vein 직경의 40% 이상일 때는 확장된 걸로 간주한다.
      • 간외담관(extrahepatic bile duct)은 총 간관(CHD)과 총담관(CBD)으로 나뉘고 그 끝은 십이지장 내 유두부이다.
      • 간외담관은 십이지장과 연동하여 연동운동을 보인다.
      • 십이지장의 연동운동에 맞춰 유두 부네 담관의 개폐(open and close)를 확인한다. 
      • 간외담관에 대한 초음파검사는 유두부(vater's papilla)까지 묘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intrahepatic duct measurement (left)
      intrahepatic duct measurement (left)
      intrahepatic duct measurement(right)intrahepatic duct measurement(right)intrahepatic duct measurement(right)
      intrahepatic duct measurement(right)
      duct measurementextrahepatic bile ductextrahepatic bile duct
      extrahepatic bile duct

       

      3) 지방식 (fatty meal)

      • 지방식 전과 후의 동적 변화를 관찰
      • 정상적으로 지방식 45분 후에는 크기가 같거나 감소한다.
      • CBD가 지방식후 1mm보다 더 증가하면 담도 폐쇄를 의심할 수 있다. 

       

      3. Jaundice

      1) 황달의 임상적 증거

      • 혈액 내 빌리루빈이 증가한다 (elevated serum level of bilirubin)
      • 소양증(pruritis) : 가려움증이 나타난다
      • 혈액 내 serum GGT와 alkaline phosphatase가 증가한다.
      • AST와 ALT는 증가하지 않는다.

      2) Obstructive versus Non obstructive jaundice의 차이점

      ① 비폐쇄성 황달 ( Non obstructive jaundice )

      • 원인은 감염(hepatitis), 간경화(cirrhosis), 미만성 전이암(diffuse metastases) 등 이 있다.  
      • 초음파상 담관의 확장 소견이 없다.

      ②폐쇄성 황달 ( Obstructive jaundice = surgical  jaundice)

      • 내인성 (intrinsic : within duct) : 총담관결석(cbd stone), 담낭관암(cholangiocarcinoma), 염증성폐색(inflammatory occlusion)등 이 있다.
      • 외인성(extrinsic: outside duct): 췌장종괴(pancreatic masses), 췌장염(pancreatitis), 가성낭종(pancreatic pseudocyst), 간종괴(hepatic masses)등이 있다.

       

       

      반응형